피싱사기 보이스피싱 및 피해 사례

Author : 형사전문변호사 김광삼변호사 / Date : 2015. 5. 20. 14:33 / Category : 형사사건/폭행/사기

피싱사기 보이스피싱 및 피해 사례





피싱이란 개인정보를 낚는다는 의미의 합성어로서 전화와 문자 그리고 메신저나 가짜 사이트 등의 전기통신수단을 이용해 피해자를 기망하고 공갈함으로써 이용자의 개인정보나 금융정보를 빼낸 뒤에 금품을 갈취하는 사기 수법을 의미합니다. 







피싱의 유형은 아래와 같은데요.



구분 

내용 

 보이스피싱


유선전화 발신번호를 수사기관 등으로 조작해 해당기관을 사칭하면서 

돈을 훔치거나 자녀 납치, 사고의 빙자 등 이용자 환경의 약점을 노려서 

자금을 훔치는 수법 


 문자피싱


스마트폰의 환경에서 신뢰도가 높은 공공기관 및 금융회사의 

전화번호를 도용해 정상적인 홈페이지와 유사한 url로 접속하도록 

유도해 개인정보나 금융정보를 편취하는 수법 


 메신저피싱


sns, 모바일 기반 메신저 등 신규인터넷 서비스의 친구추가 기능을 

악용해 친구나 지인의 계정으로 접속한 뒤 금전 차용 등을 요구하는 수법 


 피싱사이트


불특정 다수에게 문자나 이메일 등을 보내서 

정상적인 홈페이지와 유사한 가짜 홈페이지로 접속을 유도해 

개인정보와 금융정보를 편취하는 수법 




이렇게 4가지로 구분을 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런 피싱으로 당하게 되는 피해 사례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피해 1

피해자는 인터넷 뱅킹을 이용하기 위해서 본인이 거래하고 있는 은행사이트를 포털사이트 검색을 통해서 접속했으나 컴퓨터가 악성프로그램으로 감염이 되어 피싱사이트로 접속이 되었고 자신의 금융거래정보를 입력했습니다. 사기범은 피해자로부터 편취한 정보를 이용해 상품권 판매처에서 약 140만원 상당의 상품권을 구매한 뒤 상품권을 수령하고 현금화 하였으며 상품권 구매대금은 피해자가 피싱사이트에 입력했던 정보를 통해서 사기범이 인터넷뱅킹으로 지급했던 사례가 있습니다. 







피해2

피해자는 전화요금이 미납되어서 사용이 정지되니 상담을 원하면 0번을 누르라는 전화를 받았고 상담원에게 개인정보를 알려줬으며 수사기관을 사칭하는 전화가 거려와서 피해자의 명의로 대포폰이 개설되었으며 대포폰의 미납요금이 피해자의 계좌에서 인출이 되기 때문에 빨리 다른 곳으로 예금이체를 시키라는 사기범의 말에 그대로 했고 결국 자신의 계좌에 있던 예금이 사기범의 계좌로 송금이 되어 피해를 입게 된 사례












만약 피싱사기로 인해 금전적인 피해가 발생하게 된 피해자는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방지 및 피해금 환급에 관한 특별법 제 3조에 따라서 신속하게 경찰서나 금융회사의 콜센터를 통해서 지급정지 요청을 한 뒤 해당 은행에 경찰이 발급하게 된 사건사고 사실확인원을 제출해 피해금 환급신청을 해야 합니다. 만약 오늘 알아본 피싱사기와 관련해 자세한 문의나 법률적인 도움이 필요하시다면 김광삼변호사와 함께 하시길 바랍니다. 








Copyright © 법무법인 더 쌤-형사사건블로그 All Rights Reserved

광고책임변호사:김광삼 변호사

Designed by Kumsol communication.